[CentOS] 아파치 톰캣(Tomcat) 설치 및 사용 방법
리눅스 환경에서 아파치 톰캣 설치 및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파치 톰캣(Tomcat) 이란 아파치 톰캣(Apache Tomcat)은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개발한 서블릿 컨테이너(또는 웹 컨테이너)만 있는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이다. 톰캣은 웹 서버와 연동하여 실행할 수 있는 자바 환경을 제공하여 자바서버 페이지(JSP)와 자바 서블릿이
리눅스 환경에서 아파치 톰캣 설치 및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파치 톰캣(Tomcat) 이란 아파치 톰캣(Apache Tomcat)은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개발한 서블릿 컨테이너(또는 웹 컨테이너)만 있는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이다. 톰캣은 웹 서버와 연동하여 실행할 수 있는 자바 환경을 제공하여 자바서버 페이지(JSP)와 자바 서블릿이
리눅스 환경에서 NFS 설치 및 설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NFS 란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Network File System, NFS)은 1984년에 썬 마이크로시스템즈가 개발한 프로토콜이다.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사용자가 네트워크 상의 파일을 직접 연결된 스토리지에 접근하는 방식과 비슷한 방식으로 접근하도록 도와준다. 다른 수많은 프로토콜과 마
TimescaleDB 란 TimescaleDB는 빠른 수집, 복잡한 쿼리를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 설계된 오픈 소스 시계열 데이터베이스입니다. PostgreSQL을 기반으로 하며 자동 파티셔닝과 SQL 지원을 제공합니다. PostgreSQL 보다 10 ~ 100배 빠른 쿼리를 수행하고 시계열에 대해 최적화가 되어 있습니다. 5 ~ 10분 단위로 수집되는
아파치 카프카(Apache Kafka)는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이 스칼라로 개발한 오픈 소스 메시지 브로커 프로젝트이다. 출처 : 위키백과 메시지 큐를 사용하여 동기화 서비스 및 대용량 분산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Zookeeper와 함께 Apache Kafka를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운영환경 CentOS 7.6 1. 다운로드 및 설치 123[r
아파치 주키퍼(Apache ZooKeeper)는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 프로젝트 중의 한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로서 공개 분산형 구성 서비스, 동기 서비스 및 대용량 분산 시스템을 위한 네이밍 레지스트리를 제공한다. 주키퍼는 하둡의 한 하위 프로젝트이었으나 지금은 독립적인 상위 프로젝트이다. 출처 : 위키백과 위의 설명처럼 메시키 큐를 관리하고 동기 서비스
서버가 운영되는 시스템은 인터넷이 안 되는 시스템이 많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yum 을 통한 Package 를 설치할 수 없게 되어 관리가 쉽지 않습니다. Proxy 서버를 이용하여 인터넷이 가능한 하나의 서버 시스템을 통해 모든 서버가 인터넷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습니다. 운영환경 CentOS 7.6 설치 인터넷이 되는 서버에 squid Pac
오프라인 환경에서 VNC 설치 및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운영환경 CentOS 7.6 Server 설치 다운로드 http://mirror.centos.org/centos/7/os/x86_64/Packages/ 사이트에 접속 후 tigervnc-server-1.8.0-19.el7.x86_64.rpm 파일을 선택하여 다운로드합니다. 다운로드
다운로드 및 설치 위의 페이지에 접속한 후 플랫폼에 맞게 선택을 하여 다운로드합니다. Windows 환경에서 개발하기 위해 Windows Installer (.msi) 64-bit를 다운로드 합니다. 현재 최신 LTS 버전은 v16.17.0 버전입니다. 다운 받은 인스톨러 파일을 실행해서 설치를 진행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다음 명령어를 실행해서 확인을
기본 명령어 명령어 설명 ll 해당 디렉토리 파일 목록 보기 ls -al 숨김 파일까지 보기 ls -lt 시간순으로 보기 hostname 호스트명 보기 cat [파일명]예) cat /etc/hosts 파일 내용 출력 vi [파일명]예) vi /etc/hosts 파일 내용 편집 mkdir [폴더명] 폴더 생성 touch
명령어 PostgreSQL에 접속합니다. 1$ psql -U postgres 다음은 데이터베이스와 테이블 관련 명령어입니다. 명령어 설명 \list or \l 데이터베이스 목록 조회 \list+ or \l+ 데이터베이스 목록 상세조회 \c [DB Name] 다른 DB에 접속 \d 테이블 목록 보기 \dt [Table Name]